삭센다 처방비·재처방비까지 포함한 총비용 계산법 (실지출 가이드)

삭센다 처방비·재처방비까지 포함한 총비용 계산법이 없다 보니, 예산을 넉넉히 잡아도 자꾸 오차가 납니다. 

검색마다 숫자가 달라 더 혼란스럽죠. 그래서 이 글은 펜 단가 + 필요 펜 수 + 처방비(초진/재진) + 처방전 수수료 + 바늘비를 한 번에 묶은 실지출 공식을 제시합니다. 

서두·중간·마무리까지 삭센다 처방비·재처방비까지 포함한 총비용 계산법을 기준으로 설명해, 오늘 바로 당신의 예산표에 넣을 수 있게 했습니다.

계산 전 공통 가정 — 단가·용량·방문주기

  • 펜 규격: 1펜 = 18mg

  • 증량 예시: 0.6 → 1.2 → 1.8 → 2.4 → 3.0mg(유지)

  • 필요 펜 수(30일, 반올림)

    • 0.6mg: 1펜 / 1.2mg: 2펜 / 1.8mg: 3펜 / 2.4mg: 4펜 / 3.0mg: 5펜

  • 가격 가정(범위)

    • 펜 단가: 최저 82,000원 / 평균 127,000원

    • 외래 초진 25,000원 내외 / 재진 15,000~22,000원대(기관별 차이)

    • 처방전 발급 수수료: 0~5,000원대(기관별 상이)

    • 주사바늘: 30개 10,000~15,000원(1일 1개 사용)

모든 금액은 비급여 예시입니다. 실제 결제 전 내 지역 시세 확인이 필수.

공식 — 삭센다 처방비·재처방비까지 포함한 총비용 계산법

  • 월 총액 = [펜 단가 × 필요 펜 수] + [외래비(초진/재진)] + [처방전 수수료] + [바늘비]

  • 분기 총액(3개월) = (1개월차 총액) + (2개월차 총액) + (3개월차 총액)

  • 방문 주기가 길수록 외래비+처방전 수수료가 줄어 총액이 낮아집니다.

첫 달(증량) — 실지출 예시 계산

  • 용량 합계: 약 48mg → 필요 펜 3개

  • 약값(최저/평균): 246,000원 / 381,000원

  • 초진비 가정: 25,000원

  • 처방전 수수료(있을 시): 3,000원

  • 바늘비: 12,000원(30개)

  • 합계(최저/평균)

    • 최저 기준: 286,000원대(246,000+25,000+3,000+12,000)

    • 평균 기준: 421,000원대(381,000+25,000+3,000+12,000)

유지 1개월 — 재처방비까지 넣은 용량별 계산(재진 가정)

  • 1.8mg/일

    • 필요 펜: 3개 → 약값 246,000/381,000원

    • 재진비: 18,000원(가정) + 처방전 0~3,000원

    • 바늘: 12,000원

    • 월 총액(최저/평균): 276,000~279,000원 / 411,000~414,000원

  • 2.4mg/일

    • 필요 펜: 4개 → 약값 328,000/508,000원

    • 재진비: 18,000원 + 처방전 0~3,000원

    • 바늘: 12,000원

    • 월 총액(최저/평균): 358,000~361,000원 / 538,000~541,000원

  • 3.0mg/일

    • 필요 펜: 5개 → 약값 410,000/635,000원

    • 재진비: 18,000원 + 처방전 0~3,000원

    • 바늘: 12,000원

    • 월 총액(최저/평균): 440,000~443,000원 / 665,000~668,000원

포인트: 처방 주기를 4~8주로 길게 잡을 수 있으면 재진·수수료가 줄어듭니다. 의료기관 정책에 따라 조정 가능.

분기(3개월) — 처음 시작 후 유지까지 한 번에 잡는 예산

  • 시나리오 A: 증량 1개월 + 유지 3.0mg × 2개월

    • 총합(최저/평균): 1,166,000원대 / 1,754,000원대

  • 시나리오 B: 증량 1개월 + 유지 2.4mg × 2개월

    • 총합(최저/평균): 1,002,000원대 / 1,500,000원대

  • 시나리오 C: 증량 1개월 + 유지 1.8mg × 2개월

    • 총합(최저/평균): 838,000원대 / 1,246,000원대

— 계산 메모

  • 위 총합에는 재진비+처방전 수수료+바늘비가 모두 포함되어 있습니다.

  • 약값 변동, 재진 간격, 수수료 유무에 따라 ±수만 원 차이가 납니다.

비용을 줄이는 체크포인트 — 계산법을 현실에 적용

  • 방문 주기 협의: 월 1회가 고정이 아니라면 6~8주로 조정 가능한지 문의.

  • 처방전 수수료 정책: 유·무/금액을 처음부터 확인해 불필요한 재방문 방지.

  • 바늘 묶음 구매: 60~100개 단위로 단가 인하 요청.

  • 목표 용량 재평가: 2.4mg 유지로도 충분할 수 있음(의료진과 상의).

  • 결제·영수증: 현금영수증/간편결제 지원 여부로 포인트·혜택 챙기기.

자주 묻는 질문(FAQ)

  •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바로 살 수 있나요?
    대부분은 처방전이 필요합니다. 병·의원 정책을 먼저 확인하세요.

  • 초진과 재진 차이가 큰가요?
    초진은 상담·검진이 포함되어 상대적으로 높고, 재진은 낮은 편입니다.

  • 바늘은 꼭 매일 새것으로 써야 하나요?
    1회 1개 사용이 원칙입니다. 재사용은 감염·통증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.

마무리 — 숫자는 단순해야 쓸 수 있다

오늘 소개한 삭센다 처방비·재처방비까지 포함한 총비용 계산법만 기억하면 예산 잡기가 쉬워집니다. 내 목표 용량과 방문 주기, 바늘 조달 방식만 정리하면 실지출은 충분히 예측 가능합니다. 필요하면 위 가정값만 내 지역 시세로 바꿔 넣어 계산해 보세요.

다음 이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