물리치료(전기·초음파) 효과·횟수 가이드의 핵심은 증상·목표에 맞춘 짧고 명확한 프로토콜과 운동 병행입니다.
이 글은 물리치료(전기·초음파) 효과·횟수 가이드를 기준으로, 오늘 바로 적용할 적응증·세팅·세션 수·중단 신호를 표 대신 목록으로 정리했습니다.
핵심 요약
-
전기치료는 통증 조절·근활성에, 초음파는 국소 조직 가열·연부조직 유연화에 주로 씁니다.
-
효과 확인 시한: 2주(4–6세션) 내 통증 NRS 1–2점↓, 기능 확인 테스트 개선이 없으면 변경/중단을 고려합니다.
-
운동·교육이 기본, 기계 치료는 보완재입니다.
-
세션 빈도는 보통 주 2–3회, 2–6주 범위에서 계획하고, 24시간 반응으로 강도를 조절합니다.
전기치료(EMS/NMES·TENS·IFC·H-Wave 등)
-
TENS(경피신경자극)
-
목적: 통증 신호 억제(게이트 조절)·중추 감작 완화.
-
세팅: 저주파 2–10Hz(엔도르핀), 중·고주파 80–120Hz(게이트), 세션 20–30분.
-
적응증: 만성 통증, 활동 전 통증 문턱 올리기.
-
팁: 외출 전·활동 전 휴대용 기기로 반복 적용 가능.
-
-
NMES/EMS(신경·근 전기자극)
-
목적: 근수축 유도→근 위축 방지·패턴 재교육.
-
세팅: 무릎 사두근 기준 러시안/대칭파 35–50Hz, 온-오프 10–15초/50–60초, 10–15분.
-
적응증: 수술 후·통증 억제로 힘 주기 어려운 초기 단계.
-
팁: 능동 수의수축을 같이 시켜야 전이 효과↑.
-
-
IFC(간섭파)
-
목적: 깊은 조직 통증 조절, 부종 감소 보조.
-
세팅: 캐리어 4kHz, 비트 80–150Hz, 15–20분.
-
적응증: 광범위 통증·야간 통증 완화 보조.
-
치료용 초음파(UT)
-
작동 원리: 1–3MHz 음파로 미세 진동/가열(연부조직 유연화, 혈류↑).
-
세팅:
-
1MHz(깊은 조직), 3MHz(표층).
-
연속모드(가열) 0.8–1.2W/cm², 5–8분, 맥동모드(급성·부종) 0.5W/cm², 5–8분.
-
-
적응증: 점액낭염 주위, 슬개건·아킬레스 건병증의 경증 단계, 반흔 유연화, 운동 전 가열.
-
계: 관절 깊은 구조·연골·반월상 직접 치료 효과 제한. 운동 전 준비로 쓰면 현실적.
어떤 사람에게 어떤 조합이 맞을까(증상별)
-
앞무릎 통증/슬개대퇴통: TENS로 통증 문턱↑ → 의자스쿼트·힙 어브덕션·스텝다운 즉시 병행.
-
수술 후 초기·근 위축: NMES로 사두근 재활성 → 쿼드셋·SLR·미니 스쿼트 병행.
-
건·근막 뻣뻣함: 초음파 연속모드로 가열 → 스트레칭·등척성 바로 연결.
-
야간 통증/광범위 통증: IFC 15–20분 → 호흡 4‑7‑8 + 가동 5분.
-
부종·급성 악화: 초음파 맥동모드 또는 전기치료 저강도 + 냉·압박·올림.
세션 수·빈도 가이드(일반 범위)
-
초기 2주: 주 2–3회, 1회 15–30분(기계) + 운동 15–20분.
-
평가 기준: 통증 NRS, 기능 테스트(의자에서 10회 일어나기 시간, 계단 난이도, 보행 시간).
-
효과 없을 때: 4–6세션에서 변화 미미→ 프로토콜 변경(운동 비중↑, 기계 변경/감량).
-
집중기 이후: 주 1회 유지 또는 가정용 TENS로 전환.
운동·교육과의 연결(핵심)
-
용도: 기계로 통증→움직임의 문턱을 낮춘 뒤, 근력·가동·균형을 바로 이어 붙입니다.
-
추천 루틴(15–20분):
-
의자스쿼트 3×10(얕게)
-
스텝업 3×10(낮은 박스)
-
브리지 3×12
-
힙 어브덕션 3×12
-
종아리 스트레칭/햄스트링·장요근 각 20–30초×2–3
-
중단/변경 신호(레드·옐로우 플래그)
-
레드: 치료 부위 화끈한 열감·피부 발진, 저림/근력저하 새로 발생, 야간 극심 통증.
-
옐로우: 2주(4–6세션)에도 통증·기능 개선이 0–1단계 미만 → 프로토콜 수정(운동 비중↑/도수·교육 중심/기계 교체).
-
24시간 룰: 다음 날 통증·부종이 동일/감소면 강도 유지, 악화면 볼륨 20–40%↓.
안전·금기 요약
-
심박조율기/삽입형 전자기기: 전기치료 금지(의사 지시 없는 한).
-
감각저하·말초혈관질환: 강도 낮게, 피부 확인 필수.
-
임신 초기 복부/요추: 전기·초음파 적용 금지.
-
개방성 상처/감염 의심·종양 부위: 초음파 금기.
-
혈전 위험: 깊은 정맥 혈전 의심 시 자극 금지, 즉시 평가.
비용 아끼는 팁(현실 메모)
-
목표·지표(통증 NRS·기능 테스트)를 처음부터 기록해 불필요한 연장을 막기.
-
가정용 TENS로 통증 관리, 병원에서는 운동·교육에 시간을 쓰기.
-
묶음 패키지는 연장 전 효과 재평가 후 결정.
-
기계 치료만 있는 날보다 운동 포함 세션을 우선 예약.
FAQ
-
전기치료만으로 나아질까요?
단기 통증 완화엔 도움 되지만, 근력·가동·균형이 회복돼야 재발이 줄어듭니다. -
초음파를 매번 해야 하나요?
운동 전 가열 목적이라면 초반 단기간만. 효과 없으면 과감히 감량. -
집에서도 할 수 있나요?
TENS는 가능합니다. 사용 시간·강도·피부 확인 원칙을 지키세요. -
몇 회까지 받아야 하나요?
보통 2–6주 안에 효과가 보입니다. 4–6세션 무변화면 전략 변경이 정답입니다.
오늘의 실행 체크리스트
-
내 목표와 측정 지표(통증·기능)를 정했다.
-
주 2–3회, 2–6주 계획을 캘린더에 넣었다.
-
매 세션 후 24시간 반응을 기록한다.
-
효과가 없으면 운동·교육 중심으로 전환한다.
-
경고 신호가 보이면 즉시 평가한다.
해시태그
#물리치료 #전기치료 #초음파치료 #TENS #NMES #IFC #운동치료 #재활운동 #세션가이드 #관절건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