통증 단계별 운동 강도 조절법|NRS·24시간 룰·트래픽 라이트·2주 회복 루틴

운동은 통증을 없애는 도구이자 조절하는 기술입니다. 

그래서 통증 단계별 운동 강도 조절법이 필요합니다. 

오늘은 숫자통증척도(NRS)와 24시간 반응을 기준으로, 누구나 따라 할 수 있는 통증 단계별 운동 강도 조절법을 제시합니다. 

과감한 중단이 아닌 똑똑한 조절로 결과를 만드세요.

핵심 요약(먼저 보기)

  • NRS 0–3: 진행. 품질↑·범위 소폭↑

  • NRS 4–5: 볼륨 20–30% 감소·대체 동작으로 유지

  • NRS 6–10 또는 잠김·야간 통증: 중단·평가 우선

  • 24시간 룰: 다음 날 통증·부종이 동일/감소면 강도 유지

  • 증량 원칙: 주당 볼륨 10–15% 이내, 4주차는 디로드

1) 통증 단계 정의(NRS 기준)

  • 0–1: 감지되지만 신경 쓰지 않음

  • 2–3: 가벼운 불편. 폼 유지 가능

  • 4–5: 주의가 필요. 폼이 흔들리기 시작

  • 6–7: 동작 수정해도 통증 지속

  • 8–10: 중단 필요(날카로운 통증·잠김·열감)

2) 트래픽 라이트 시스템

  • 초록(0–3/10) → 계획 그대로. 세트 사이 호흡 안정 확인

  • 노랑(4–5/10)세트/반복/하중 20–30%↓, 속도 느리게, 대체 동작

  • 빨강(6–10/10)해당 동작 중단, 가동·호흡만 유지 후 재평가

3) 24·48시간 반응으로 판단하기

  • 24시간 후: 통증·부종·뻣뻣함이 같거나 감소 → 강도 유지

  • 24시간 후: 분명 악화 → 볼륨 20–40%↓, 휴식 1일 추가

  • 48시간 이상 악화 → 루틴 재설계 또는 전문 평가

4) 운동 유형별 강도 조절법

  • 유산소(자전거/걷기)

    • 기준: 말문 테스트(대화 가능), RPE 4–6/10

    • 통증 4–5/10 시 시간 단축(예: 30→20분)·경사/저항 ↓

  • 근력(하체 중심)

    • 기준: 마지막 2–3회에서 버거움 느끼되 폼 유지

    • 통증 4–5/10 시 세트/반복 20–30%↓ 또는 깊이 축소(스쿼트 얕게)

  • 가동범위/스트레칭

    • 당김은 OK, 찌름/저림은 NO. 20–30초×2–3

  • 균형/고유수용성

    • 벽·난간 지지 후 지지량을 점진적으로 줄임

5) 부위별 적용 팁(무릎 예시)

  • 슬개대퇴(앞무릎): 내려갈 때 속도 감속·깊이↓, 엉덩이 주도

  • 안쪽 관절선/OA: 비틀림·깊은 쪼그림 회피, 스텝업 중심

  • 반월상 의심: 잠김/완전 신전 불가면 루틴 중단·평가

6) 즉시 쓸 대체 동작

  • 스쿼트 깊이 ↓ → 의자스쿼트

  • 런지 대체 → 스플릿 스쿼트(얕게)

  • 내려가기 통증 ↑ → 스텝다운 낮은 박스

  • 러닝 통증 ↑ → 자전거 인터벌로 전환

7) 2주 회복 루틴(주 5일)

  • 매일 유산소 20–30분: 실내 자전거/빠른 걷기(평지)

  • 근력 격일 15–20분

    • 의자스쿼트 3×10(얕게, 0–3/10 범위)

    • 스텝업 3×10(낮은 박스)

    • 브리지 3×12

    • 힙 어브덕션 3×12

    • 카프 레이즈 3×12

  • 가동/유연성 매일 5–7분: 완전 신전 우선, 햄스트링·종아리·장요근 20–30초×3

  • 균형 주 3회: 싱글레그 3×30초(난간 옆), 스텝다운 2×8

  • 증량 원칙: 24시간 룰 충족 시 주당 10–15% 증량

8) 플레어(악화) 대처 체크리스트

  • 냉 10–15분(열·부종↑) / 온 10분(뻣뻣함↑)

  • 볼륨만 낮추고 루틴 흐름 유지

  • 수면 7–8시간, 저녁 염분·과음 줄이기

  • 로그: 날짜·운동·세트·통증(운동 직후/다음 날)

9) 흔한 실수와 해결

  • “아프니 전부 중단” → 하중을 관리해야 회복이 빨라짐

  • “무릎만 강화”엉덩이/코어/균형이 함께 가야 재발 ↓

  • “매일 고강도” → 4주차 디로드로 회복 창 확보

10) 병원에 가야 할 신호

  • 야간 통증·열감·급격한 부종

  • 잠김/완전 신전 불가·갑작 변형

  • 한쪽 종아리 단단한 붓기·열감(혈전 의심)

  • 외상 후 체중 부하 불가

FAQ

  • 통증이 0이 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나요?
    아닙니다. 0–3/10 범위에서의 운동은 회복을 돕습니다.

  • 자전거가 오히려 앞무릎을 아프게 해요
    안장 높이/뒤로 0.5–1cm 조정, 케이던스↑ 기어비↓.

  • 보조기·테이핑은 필수인가요?
    보완재입니다. 핵심은 폼·하중·루틴 지속입니다.

  • 언제 러닝 복귀?
    2주 루틴에서 통증 안정 시 걷기→자전거 인터벌→조깅 순으로.

오늘의 실행 체크리스트

  • 현재 통증을 NRS 수치로 기록했다.

  • 트래픽 라이트·24시간 룰을 메모했다.

  • 2주 루틴을 캘린더에 넣었다.

  • 냉/온·국소 진통 보조를 준비했다.

  • 경고 신호가 보이면 즉시 평가한다.

해시태그

#통증단계별운동 #운동강도조절 #트래픽라이트 #24시간룰 #무릎운동 #재활운동 #하중관리 #가동범위 #균형훈련 #관절건강

다음 이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