견적서를 받았는데 숫자만 보고는 감이 안 올 때가 많죠. 같은 “풀페이스”라도 샷 수, 팁 소모량, 소모품, 부가세 포함/미포함이 제각각이라 비교가 흐려집니다.
이 글은 울쎄라·써마지·슈링크 상담견적 읽는 법(샷 수·팁 소모량·소모품)을 한 번에 정리합니다. 핵심은 단순합니다.
모든 견적을 같은 축으로 ‘정규화’해서 보세요: 샷/팁·커버리지 동일화 → 부가세 포함 총액 → 추가비 반영 → 샷/팁 단가 계산.
1) 견적 읽기의 뼈대: “정규화 실지출” 만들기
-
정규화 실지출
-
= 표시가
-
-
부가세(미포함이면 ×1.1)
-
-
-
추가비(마취·수면·재생관리·쿨링·추가 샷/팁·소모품)
-
-
− 사은품 실사용 가치(실제로 돈 주고 살 의향 없는 건 0원)
-
-
샷/팁 단가
-
= 정규화 실지출 ÷ 실제 제공 샷 수(울·슈) / 팁 샷 수(써마지)
-
비교 전 전제: 같은 부위·커버리지(풀페이스/턱/목/아이 등)와 같은 기기/버전으로 맞추기.
2) 항목별로 해석하는 법
울쎄라(샷 기반)
-
보고서에서 꼭 볼 것
-
총 샷 수(예: 300/450/600)
-
부위별 샷 분배표(턱 ___샷, 목 ___샷, 아이 ___샷)
-
카트리지(깊이/주파수)와 정품 사용 여부, 샷 로그 캡처 제공
-
마취·재생관리 포함 여부, 추가 샷 단가
-
-
해석 포인트
-
같은 300샷이라도 분배가 다르면 결과가 달라짐. 분배표/로그가 없는 견적은 단가가 낮아도 리스크↑.
-
써마지 FLX(팁 기반)
-
보고서에서 꼭 볼 것
-
팁 규격(300/600샷), 정품 팁 실개봉/시리얼
-
쿨링/마취/재생관리 포함 유무, 추가 팁 단가
-
커버리지(턱+목 포함 여부)와 스트로크 전략(밀도)
-
-
해석 포인트
-
넓은 영역+팁 300이면 밀도가 부족해 체감이 약할 수 있음. 묶음 패키지라면 팁 600 또는 보완 플랜 확인.
-
슈링크(샷 기반)
-
보고서에서 꼭 볼 것
-
총 샷 수(100/300/500 등), 기기 버전
-
커버리지(브이라인/아이/풀페이스), 리터치 정책
-
첫방문/평일 낮 등 조건부 이벤트인지
-
-
해석 포인트
-
소용량 반복의 총액이 전면 1회+부분 리터치보다 커질 수 있음. 필요한 샷수를 한 번에 확보 후 보정이 효율적.
-
3) “팁 소모량·소모품”이 은근히 총액을 흔든다
-
팁/카트리지: 써마지는 팁 1개가 비용의 핵심. 울·슈도 카트리지/핸드피스 수명·교체 주기가 원가에 반영됨.
-
마취 옵션: 연고/수면 여부에 따라 비용 차이 큼. 민감도·통증내성에 맞춰 선택.
-
재생관리/쿨링/팩: 포함이면 좋지만, 체감 가치가 낮으면 실가치 0원 처리.
-
추가 샷/팁 단가: 처음 제시 단가와 추가 단가가 다른지 확인. 추가가 비싸면 처음부터 충분량이 유리할 때가 많음.
4) 상담실에서 바로 쓰는 질문 스크립트
-
“부가세 포함 총액이죠? 숫자로 적어주세요.”
-
“부위별 샷 분배표 받을 수 있을까요? (턱/목/아이 각각 __샷)”
-
“정품 인증 증빙은 어떻게 해주시나요? (써마지 팁 실개봉·시리얼 / 울·슈 샷 로그)”
-
“리터치/터치업 정책은요? (기간, 비율 10~20% 등)”
-
“추가비 목록이 있나요? (마취·재생·수면·추가 샷/팁·소모품)”
-
“오늘가와 재방문가의 추가 샷/팁 단가가 같은가요?”
-
“커버리지가 정확히 어디까지인가요? (턱/목/브이라인/아이)”
5) 손익 계산, 3단계만 기억하세요
-
정규화: 두 견적을 부가세 포함 총액으로 바꾸고, 추가비를 더함.
-
단가화: 그 총액을 샷/팁 수로 나눠 샷/팁 단가를 만든다.
-
조건검증: 부위 커버리지·정품/정량 인증·리터치 정책이 동일한지 확인.
6) 미니 시나리오(예시 구조만, 금액은 직접 입력)
-
시나리오 A — 저가 이벤트 vs 정품·정량 인증 패키지
-
A이벤트: 표시는 낮음(부가세 별도·추가비 다수) → 정규화 후 총액 = ______원
-
B패키지: 표시는 높음(부가세 포함·마취/재생/리터치 포함) → 정규화 후 총액 = ______원
-
샷/팁 단가 비교 후, 리터치 포함 여부까지 반영해 선택.
-
-
시나리오 B — 팁 300 vs 600(써마지)
-
300: 총액 ______원 / 600: 총액 ______원 → 커버리지·밀도 필요치에 맞춰 선택.
-
-
시나리오 C — 전면 1회 vs 소용량 반복(슈링크)
-
전면 + 부분 리터치(10~30%): 총액 ______원
-
소용량 n회: 총액 ______원 + 시간·교통비 ______원 → 더 낮은 쪽 선택.
-
7) 견적 비교 체크리스트(다운로드 없이 복붙)
-
부가세 포함 총액
-
샷/팁 수 및 부위별 분배표
-
정품 인증(팁 실개봉·시리얼 / 샷 로그)
-
리터치 정책(기간·비율)
-
추가비 목록(마취·재생·수면·추가 샷/팁·소모품)
-
시간·지점 조건(평일 낮·첫방문 등) → 시간·교통비로 환산
FAQ
-
Q. “풀페이스”면 다 같은가요?
-
A. 아니요. 커버리지 정의가 병원마다 다릅니다. 턱/브이라인/목/아이 포함 여부를 숫자와 함께 확인하세요.
-
-
Q. 사은품/부스터가 많을수록 이득인가요?
-
A. 실제 쓸 것만 가치로 인정하세요. 안 쓰면 0원입니다.
-
-
Q. 샷 로그·팁 시리얼까지 꼭 필요할까요?
-
A. 네. 정량·정품 인증은 결과 예측성과 사후 대응의 기본입니다.
-
-
Q. 저가 이벤트가 항상 손해인가요?
-
A. 아닙니다. 조건이 명확하고 정품·정량 인증이 되면 합리적일 수 있습니다. 핵심은 정규화 실지출과 단가 비교.
-
결론
견적은 숫자 놀음이 아니라 조건 통일이 전부입니다. 울쎄라·써마지·슈링크 상담견적 읽는 법(샷 수·팁 소모량·소모품)의 원칙대로, 부가세 포함 총액과 샷/팁 단가로 바꿔 보세요. 댓글에 숫자만 남기면, 위 포맷으로 손익을 바로 계산해 드릴게요.